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보는 세상

부동산 패닉 셀과 에너지 사업

by 바이칼호1 2022. 10. 24.

국내에 예정되어 있던 태양광 사업이 시국 상황을 고려하여 연기 및 보류되는 바램에, 눈을 돌려 몇가지 건설시행 사업을 하다 앞으로의 전망을 보고, 손 놓고 있었는데 예상대로 올 것이 왔다.

 

레고랜드 건설을 위해 발행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F) 부도 사태가 터졌다. 지방채로 보증한 것을 도지사가 부도처리 한 것이다. 기업어음(CP) 등 단기자금 시장을 경색시킨데 이어, 이미 얼어붙어 있던 회사채 시장마저 마비시키고 있다. 건설사의 회사채나 기업어음(CP)을 사들이려는 투자자는 자취를 감췄고, 은행이 대출을 꺼린다는 소문까지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PF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증권사들이 보증을 서는데, 차환이 안되면 결국 떠안게 돼 연쇄적인 부실 우려가 있다.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은 8,250억원 PF 조달에 실패하였다. 국내 최대 재건축 사업장의 프로젝트 파이낸싱이 차환 발행에 끝내 실패하면서, 건설사가 보증한 7천억원의 사업비를 현대, 대우, HDC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네곳이 떠안게 됐다. 레고랜드발 단기자금 시장 경색이 우량 재건축 사업장까지 덮친 것이다. 향후 재건축 사업의 난망을 보여주고 있다.

차례로 만기가 돌아오는 건설사 회사채도 부담이 되고, 부동산 경기 하락 여파로 회사채 차환 발행이 막힌 건설사들은 이제 자체 자금으로 상환하고 있다. 건설사는 사업현장의 한두군데를 자체자금으로 해결할 수 있겠지만 여러 곳을 다 그렇게 할 수는 없어 건설주, 증권주의 폭락이 예상된다.

한국예탁 결제원에 따르면 12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PF 유동화증권 규모는 약34조원으로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증권사, 건설사들이 연쇄적으로 부실 위기에 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부동산 경기가 좋아질 수 없기 때문에 시한폭탄처럼 심각한 상황이다. 지금은 새집도 안사고 분양도 안된다. 자재대는 올랐는데 금리가 올라 시장에서는 고분양가라 인식하고 있다.

한편, 은행채 발행액의 추이를 보면 예상외로 최근에 급격히 늘고 있다. 고금리 상황에서도 집값을 떠받쳐 안정시키려는 정부의 압력에 대출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시중은행이 자금 수요가 많다는 의미이다.

아래 도표를 보면 은행채가 늘어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이로서 국내 은행들이 세계 100대 은행 순위에서 줄하락하고 있다. 성장 및 수익성 모두 평균치를 밑돌고 있어 장기적으로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은행이 집담보 대출로 이자 장사하다가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를 따라 올리지 못하니 벌어지는 현상이다.

지금은 그래도 유망한 일이 지난 정부에서 공을 들인 방위산업 수출과 해외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장기적인 원전 일변도로 갈 것이 아니라, 단기적으로 성사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보급을 적극 권장해서 동남아처럼 에너지 위기 문제에 전방위적인 해결 자세를 가져야 하지 않을까 한다.

최대 지붕형 발전소를 가지고 있었는데 요즘 치솟는 거래가격(SMP)을 보면 울고 싶은 심정이다. 거짓의 유혹에 빠져 오판한 내 잘못이 제일 크지만, 원망할 사람들이 자꾸 떠오른다. 그걸 가지고 있었으면 PF 원리금 상환이 끝나는 지금쯤 많은 사람들을 도와주며 해외 에너지 사업도 마음껏 하고 있을텐데...

석양에 해는 저물지만 내일의 태양을 기다리며 밤을 넘겨야 할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