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선물, FOREX, 코인 등 동향

이제 투자의 시대... 소액으로도 가능

by 바이칼호1 2022. 9. 3.
  • 취지




4차 산업혁명의 시대라면서 산업구조와 고용 등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경제는 성장하고, 풍요로워 지는 듯 하지만 절대 다수는 여전히 빈곤 속에 있고, 환경이 악화되어 행복지수는 과거에 비해 좋아지고 있다고 말하기 어려울 듯 하다.

고용없는 성장...이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 없이 풍요로움을 갖기 위해서는 투자에 대한 이해와 기법 숙달이 필연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투자는 자본이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이 책에서는 최소의 자본으로 할 수 있는 트레이딩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책을 읽고도 혼자 트레이딩 하는 것이 자신없거나 신경쓰면서 하기 싫은 분이 있으면 자동매매가 아닌 전문 트레이더를 연결해 따라 하는 방식의 트레이더를 연결해 좀 수월한 방법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길을 안내해 주고자 한다. 물론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도 있으나, 프로그램 구입비용이 비싸고 위험성 또한 상존해 있어서 권하고 싶지 않다.

  • 파생상품(선물, 옵션) 개념

"선물·옵션에 손대면 패가망신한다고 하던데…"
선물·옵션은 일반 주식시장에 비해 수익률이 매우 높다. 그만큼 위험성도 상당하다. 그래서 흔히 선물·옵션 시장을 '복불복' '패가망신의 지름길'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사실 선물·옵션은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인데, 적은 돈으로 큰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시장이 예상을 빗나갈 경우 엄청난 손실을 볼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선물·옵션? …파생상품 개념 이해하기

선물과 옵션을 설명드리기에 앞서 파생상품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우리 주린이 투자자분들은 삼성전자, 카카오 등 개별 주식 '현물'을 비롯해 KODEX200 등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를 많이 하실텐데요.
파생상품은 이와 별도 카테고리에 묶이는 투자상품으로 주식, 채권, 통화, 곡물, 원자재 등 기초자산으로부터 '파생'된 상품을 뜻합니다. 기초자산의 가격이나 지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이죠.
흔히들 '선물'을 파생상품과 같은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요. 선물은 파생상품의 한 종류입니다. 파생상품 안에 선물, 옵션이 포함된다 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파생상품 거래 대상이 되는 기초자산은 주식·채권 등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비롯해 쌀, 옥수수, 돼지고기, 석유, 금 등 농산물 및 원자재 등 실물자산도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로는 선물, 옵션, 스왑 등이 있고 파생결합증권(ELS, DLS, ELW 등)과 파생결합사채(ELB, DLB) 등이 있습니다.
파생상품 거래 목적은 헤지거래입니다. 헤지거래는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앞으로 보유하려는 자산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을 회피하려는 것을 말하는데요. 최근에는 단순 헤지 수단이 아닌 고수익을 노린 투자수단으로도 인식되고 있습니다. 물론 그만큼 투자위험도 또한 상당히 높습니다.



선물이란? 미래에 일어날 거래를 미리 약속하는 것


우리가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시장에 가서 물건 값을 지불하고 구매하는 것을 '현물거래'라고 합니다. 이와 달리 현재 물건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3개월 혹은 6개월, 1년 후에 물건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 때 현재 시점에서 해당 물건 값과 인도 날짜 등을 확정해 계약을 체결하고 약속된 날짜에 계약한 대로 물건과 대금을 교환하는 거래를 맺기도 하는데요.
이게 바로 선물 거래입니다. 어떤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어느 시점에 매수 혹은 매도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를 뜻하죠.
예를 들어볼까요. 쌀농사를 짓는 농부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쌀은 날씨 상황에 따라 풍작이 될 수도 있고 흉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쌀 한 포대의 가격은 5만원이지만 농부는 올가을에 쌀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떨어져 손해를 보면 어떻게 할까 하는 걱정이 많습니다.
그러던 중 쌀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이 나타납니다. 쌀 구매자는 농부에게 3개월 후에 쌀을 포대당 6만원에 사겠다고 제안을 하죠. 농부는 현재 시세가 5만원인데 3개월 후 6만원에 판매가 가능하다면 나쁠 게 없다고 생각해 그 제안에 응합니다.
서로 계약은 체결됐고, 3개월 후에 쌀의 시중 가격이 얼마가 됐든 두 사람은 6만원에 거래를 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선물거래입니다. 여기서 기초자산은 농부가 수확할 쌀이 되는 것이고요. 쌀 구매자는 선물 매수자, 농부는 선물 매도자가 됩니다.
시간이 흘러 3개월이 지났습니다. 쌀의 시중 가격은 8만원이 됐습니다. 누가 이익일까요. 당연히 쌀 구매자가 이익일 겁니다. 현재 8만원에 거래되는 쌀을 6만원에 구매할 수 있으니까요. 반대로 농부는 2만원을 더 받고 팔 수 있었는데 미리 선물매도를 했기 때문에 6만원에 팔 수밖에 없습니다. 빗나간 예상에 농부는 포대당 2만원가량 손실을 입게 된 것입니다.
주식시장에서도 선물거래는 똑같이 적용됩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선물거래는 코스피200 선물인데요. 기초자산은 코스피200입니다. 코스피200지수가 앞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코스피200선물을 매수하면 되고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코스피200 선물을 매도하면 됩니다. 향후 코스피200 등락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매매는 '계약' 단위로 이뤄지는데요. 코스피200 선물 1계약의 경우 지수에 25만원을 곱한 금액으로 산정됩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200지수가 현재 430이면 선물 1계약은 무려 1억750만원인 거죠.
물론 이 금액을 다 내는 건 아니고 증거금 7.2%(7월 기준)만 있으면 되니 약 774만원이 있으면 코스피200 선물 1계약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계약해서 만약 만기일에 지수가 10포인트 상승했으면 250만원, 선물 10계약을 매수했으면 2500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반대로 지수가 하락할 경우엔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습니다.
코스피200 선물은 하나의 예고요. 지수 선물 외에도 개별 주식 선물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카카오, 현대차, SK텔레콤 등에 대해서도 선물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이죠.
참고로 선물은 영원히 보유할 수 없습니다. 주식과 달리 선물은 보유기간이 정해진 시한부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선물 만기는 3개월에 한번씩 돌아옵니다.


그럼 옵션은 뭐죠…미래에 거래할 것을 약속하는 '권리'


선물이나 옵션은 미래에 어떤 자산이나 상품을 특정 가격으로 사고판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습니다. 선물은 미래의 특정 시점과 특정 가격에 매수 혹은 매도를 하기로 한 약속입니다. 이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하죠.
반면 옵션은 권리입니다. 특정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래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수, 매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런 권리는 살 수도 있고, 팔 수도 있습니다. 또 권리를 행사하기 싫으면 권리를 포기해도 상관없습니다. 물론 포기에 따른 손실은 감수해야 합니다.
옵션에는 콜옵션과 풋옵션이 있습니다. 콜옵션은 특정 자산이 미래 어느 시점에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약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이고 풋옵션은 미래 특정 시점에 약정한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하죠.
헷갈리실 것 같아 단순하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라는 사람이 금(Gold)을 판매하는 B에게 금 한 돈을 사기로 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A는 금 한 돈이 현재 20만원인데 한 달 후에는 30만원까지 오를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B에게 금 한 돈을 한 달 후에 25만원에 사겠다고 말하고 25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달라며 요구를 합니다.
B는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을 합니다. 대신 한 달 후에 25만원에 판매하겠다는 조건으로 3만원의 권리금을 A에게 요구했습니다. A는 3만원을 내고 그 권리를 획득하죠. A가 3만원을 내고 매수한 그 권리를 바로 '콜옵션'이라고 합니다.
A입장에서는 3만원을 미리 지불했지만 금값이 향후 30만원이든 40만원이든 아무리 올라도 상관이 없습니다. 25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 달 후 25만원에 금을 사서 시중에 30만원, 40만원에 팔면 이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다만 B는 언짢을 수 있습니다. 30만원, 40만원에 팔 수 있는 금을 25만원에 팔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풋옵션은 반대입니다. 금을 보유하고 있는 B는 금값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현재 20만원인 금값이 한 달 후에는 10만원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본 거죠. 그래서 A에게 한 달 후에 금 한돈을 15만원에 판매하는 대신 권리금으로 3만원을 미리 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A는 고민 끝에 3만원을 받고 그렇게 하기로 합니다.
한 달 후에 금값이 실제로 10만원까지 떨어졌습니다. B는 A에게 3만원을 주고 15만원에 팔 수 있는 권리(풋옵션)를 미리 매수했기 때문에 15만원에 판매하면 됩니다. 그러면 A는 울상이겠죠. 지금 10만원에 거래되는 금 한 돈을 어쩔 수 없이 15만원에 매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될 때는 콜옵션을 매수하면 되고, 어떤 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될 때는 풋옵션을 매수하면 됩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옵션은 선물과 달리 권리이기 때문에 콜옵션, 풋옵션 매수자는 그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포기해도 됩니다.
옵션도 선물처럼 보유 기간에 제한이 있습니다.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콜옵션, 풋옵션은 1개월마다 한 번씩 만기가 돌아옵니다. 정해진 만기일까지는 권리를 행사하거나 포기하거나 결정해야 하죠. 옵션은 권리금을 주고 권리를 얻은 것이기 때문에 권리를 포기하면 권리금에 투자한 돈을 모두 잃을 수도 있습니다.


선물·옵션 동시만기일엔 변동성 주의해야


앞서 선물과 옵션에 공통적으로 등장한 단어가 바로 만기인데요. 선물과 옵션은 모두 '특정'일에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 판다를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특정일이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만기일이라고 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선물 만기일은 3·6·9·12월 둘째주 목요일, 옵션 만기일은 매달 둘째주 목요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선물과 옵션 모두 만기일이 둘째주 목요일이다보니 1년에 4번 겹치는 날이 있는데요. 흔히 '네 마녀의 날'이라고 부르는 이날에는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매우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만기일은 선물·옵션을 매수했던 투자자들이 마지막으로 거래할 수 있는 날입니다. 따라서 포지션을 청산하려는 투자자들과 변동성을 노린 일부 투기적인 투자자의 거래가 형성되면서 변동성이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거죠.
만기일 변동성 위험성을 보여주는 가장 단적인 예가 바로 2010년 '도이치증권 옵션쇼크'입니다. 도이치 옵션쇼크 사건은 그해 11월 11일 주식시장이 마감하기 10분 전 도이치증권 서울지점 창구에서 무려 2조원이 넘는 대규모 매도세가 쏟아지면서 코스피가 50포인트가량 급락했던 사건입니다.
당시 투자자들은 대규모 손실을 봤지만 매도 주문에 가담했던 이들은 풋옵션 상품으로 수백억원의 이익을 챙겼습니다. 이 사건 이후로 금융감독원의 감시가 강화되면서 만기일 변동성은 과거보다는 줄었지만 여전히 다른 날보다는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3개월에 한 번씩 돌아오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과 한 달에 한번씩 돌아오는 옵션만기일은 지수 변동성 확대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주린이분들은 꼭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 해외선물 매매방법





  1. 계좌 개설(대여계좌 개설도 가능)

가. 계좌 종류

  • 실거래 계좌(키움증권, 교보증권 등)
  • 대여계좌(A플러스, 소울 등)
  • 거래소(인피녹스, ATFX, 유토피아 등)

나. 개설 방법
- 실거래계좌 : 키움증권 등은 1계약당 2000여만원

  1. hts 사용법
  2. 종목별 특징
  • 국내
  • 해외
  1. 차트보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 캔들 모양 파악(고점에서 윗꼬리 나타날때 하락세 가능, 저점에서 아랫꼬리 나타나면 상승세 가능)
  • 가격이동평균성(이평선)

그날의 합(종)/나누기 일수
- 패턴, 파동 파악(패턴이 중요하며, 파동은 큰 의미 없으며 흘러가는 상황 파악 정도)

  1. 핵심기술 파악
  • 주식은 볼 것이 너무 많고, 선물은 떨어져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양방향 거래
  • 방향(기준이 애매모호 하니까 잘 모름)
  1. 나만의 매매 원칙 설정
  1. 모의 투자로 연습
  2. 실전 매매 시작

  • 설계
  1. 누적 수익 발생 구조

금지사항 : 역추세매매,

  1. 매매 기준 정립
  • 전일종가 기준 위아래 1포인트 단위로 라인을 긋고, 전일종가 기준 위에 있으면 그 선을 기준 매수 대응/아래 있으면 매도 대응
  • 전일종가 기준 위 아래 무너지면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손절 5틱 잡고 진행
  • 손절은 기준선 기준 5틱 정도
  • 기준은 하나로 단순하게

` 아주 심플한 기법으로 장중 매수, 매도에 대한 기준을 단순하게 잡는 것
` 예를 들어, 선을 하나 긋고, 그 선을 기준으로 매수/도 진입
` 종류 : 당일시가, 전일 종가, 이평선 등
` 주의 : 분봉도 하나, 이평선도 하나, 기준선 모두 하나로 통일
- 단순한 매매기법의 필요성
` 심리적으로 대응하는데 부담이 덜하다
` 진입에 대한 이유를 분명히 알 수 있다.
` 간단하다 보니 대응하기가 쉽다.
` 내일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진다.
` 시장이 매도에서 매수로 돌아설 때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 기준이 단순하다 보니 뇌동매매를 줄일 수 있다.
` 손절을 철저히 지킬 수 있다.

  • 통계를 한달치 이상(통계가 70% 이상 수익이 날때 모의매매후 실전)
  1. 매매 원칙 정립
  • 수익이 날 수 있는 구조 인식
  • 매매기법 만들어야
  • 나만의 매매기법 설계(통계)

전일종가 기법, 싯가기법 등

  1. 매매기법 승률 통계 및 모의매매 훈련을 통한 기법 검증

  1. 실전매매시작



  • 시작시 분석 필요내용
  1. 종목별 일봉분석(이평선, 매물선)
  2. 종목별 분봉 분석
  3. 해당 종목 정보분석(내재적 가치분석, 기본적 분석, 뉴스)---
  4. 관련종목 분석(서로 상응하는 종목, 서로 커플링(디커플링),
  • 안전자산(골드 등)과 위험자산(주식시장(나스탁, 항생, 에센피, 국내선물, 국내옵셥)의 상관관계
  •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이 같이 올라가면 금리 영향 등 거품



  •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커플링 현상
  • 기대심리
  • 금리 등 거품





선물시장 대응시 꼭 지켜야 할 사항

  1. 기다림
  2. 유연성
  3. 손절
  4. 원칙
  5. 리스크 관리 : 계약수 조절, 투자금 조절, 수익금 인출, 원금 관리, 당일 손실 제한
  6. 단일호가 대응
  7. 분할 청산
  8. 분산투자
  9. 통계를 통한 확실한 매매 기법
  10. 심리 관리




매매시 주의사항

  1. 플랜을 갖고 매매한다.(A, B, C 플랜 준비)
  2. 선물은 확률게임이다.
  3. 분봉선정

- 나스닥, 항생 = 1분봉, 5분봉
- 오일, 골드, 유로, 엔화 = 5분봉, 10분봉

  1. 지지선이 무너지면 저항선으로 바뀐다.

반대로 저항선이 돌파되면 지지선으로 바뀐다.

  1. 지지나 저항선이 무너진 것을 판단할 때는 분봉상 캔들의 시가위치가 중요하다.

  1. 진입, 청산, 손절 = 모든 것은 기다림이다. 즉, 타이밍을 기다려야
  2. 목표값까지 버티고 싶다=안보고 버텨야 된다.
  3. 초보자 종목 = 오일, 골드, 유로, 엔화 위주로 하고, 이후에 적용되고 나서, 나스닥이나 항상 매매
  4. 자제할 수 있어야 한다.
  5. 고수반열에 들면 가장 어려운 것이 청산이다.
  6. 선물은 확률상 좋은 진입자리만 찾으면 된다. 그 외는 관망한다.
  7. 스탑로스를 꼭 걸어두고 매매(기계적인 손절)
  8. 원웨이 장에서 트레이딩 스탑(익절)은 필수

(하루에 한번 진입하더라도 제대로 진입 및 청산)

  1. 원웨이 장에서 눌림목 진입이 필수
  2. 항상 고점에서 손절은 잡고 진입하더라도 의미있는 자리에서 진입

(전일종가나 고가 등)

  1. 큰 추세를 먹을 때에는 기다림의 뚝심이 필요하다.
  2. 도박은 추세가 없지만 트레이딩은 추세와 전략이 있다.
  3. 손절폭이 크면 손실도 크지만 그만큼 수익이 많을 가능성이 높다.





  • 거래량
  • 파란색(
  • 나스닥이나 항생 매매시 1분봉 무너지더라도 5분봉 살아있으면 대기

5분봉도 무너지면 스위칭

  • 위꼬리가 길면, 내려갈 가능성이 있고, 아랫꼬리가 길면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 매물대가 안무너지면 버틴다.






매매기법

  1. 고수와 아마추어의 차이

가. 선물옵션 고수

  • 매매 기법 : 단순화, 공식화
  • 매매 원칙 :목숨같이 지킨다(통계를 스스로)

나. 선물옵션 아마추어

  • 매매 기법 : 복잡 다양화, 비공식화
  • 매매 원칙 : 알고는 있으나 지키지 못한다.

  • 투자 성공법 보다는 실수를 피해야
  • 파생상품의 성공은 결국 차트보다 철학(심리)가 중요
  • 지지 않는 것은 나에게 달렸으나, 이기는 것은 상대에게 달렸다.(손자)
  • 통제불가능한 변수들 때문에 매매기법과 원칙을 지켜야
  • 원금에 손해보지 마라(워렌버핏)
  • 아생연후에 살타(바둑)
  • 매매기법은 맞으나 매매원칙 못지켜 망하는 경우가 많다.
  • 고수일 수록 매매기법이 단순하다.

  1. 고수의 특징 및 습관

가. 선물옵션 고수
-매매특징 : 이유 있는 진입, 손절, 청산, 기다리는 매매, 때를 알고 매매한다. 승률 통계를 내어본다.
- 매매습관 : 나만의 매매기법을 믿는다., 원칙을 지킨다.
매매일지를 쓴다(손실에 대해서 필히 써야 한다. 손실의 공통점을 찾아 문제점을 해결하면 수익으로 전환됨).

  • 손절, 익절, 긴 수익


분할 진입은 잘못, 물타기 잘못
시황은 진입때문이 아니라 청산때문에 본다.

나. 선물옵션 아마추어

  • 매매특징 : 이유는 있으나 진입, 손절, 청산을 마음대로 한다.

(마음이 때보다 앞선다.

  • 매매습관 : 매매기법 신뢰 못함. 원칙을 지키지 못함

매매일지를 쓰되 공통점 찾지 못하거나 보지 않는다.
손절 안지키고, 익절 안지키고, 짧은 수익
원칙없는 추격매매와 뇌동매매

위중 한가지라도 있으면 아마추어임

  1. 고수의 매매기법 및 심법

가. 매매기법

  • 이평선매매(추세)

이평이 몰려 있으면 파워가 강하고 떨어져 있으면 일시 반등도 가능
이평선은 단순하게 공식적으로 원칙
추세에 데이면(이평선에 접근) 산다.
일봉에서도 매매 가능
선이 두개이면 먼 곳을 걸고 안전하게 매매
횡보에선 매매금지

  • 볼린저 밴드 매매(횡보)

박스에서 대응 가능
상한선은 매도, 하한선은 매수, 중심선은 청산
볼린저 밴드가 수렴하다가 상, 하로 터질 가능성 높음
(오늘은 응축되었다면 내일은 터질 수 있음)

  • 밴드 상한선 : 저항의 역할
  • 중심선 : 저항 및 지지의 역할
  • 하한선 : 지지의 역할


손절이 나갔다는 것은 추세가 바뀐 것이니 하나의 기술이자 전략
컷을 두려워 하지 말자(컷 맞고 다시 상향시

  • 마딧가 매매(목표가)
  • 옵션 가격 매매(목표가 잡기)
  • 나스닥 원웨이시 1분봉, 평형시 3분봉, 5분봉
  • 나스닥 항생은 1분봉과 5분봉, 골드와 오일, 엔화는 5분봉과 10분봉 사용






초보자를 위한 강의
[해외선물 초보필수] " 해외선물 6개월 미만 초보자 분들은 무조건 보셔야 하는 영상~!! " (강추) - YouTube

[해외선물 강의] " 로스컷 막아주는 확실한 기법~!! " (선물옵션, FX마진) - YouTube
"누적 수익 만들기"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부자들의 투자 공식! - YouTube
매수할때 3가지패턴만 기억하면 됩니다!! " (해외선물,FX마진) - YouTube
" 너무중요한 필살 속임수 기법~!! " (트랩기법, 선물옵션,FX마진) - YouTube



원에이 장에서 짝궁뎅이
5분봉에서 양봉이나 음봉 3개에서 청산(버티기)
추세추종 매매에 의한 풋 원에이 장에서 고점 매도 저점 청산
(추세 매매시 원칙을 지키면 수익이 손실보다 항상 크다)
최대한 한번에 진입하고 분할 청산은 가능하나, 분할 진입은 불가



기술적 분석

  1. 계속성
  2. 반복성 : 특정한 패턴 등
  3. 회귀성 : 장기적으로 기업상품, 국가 경제의 본질


가. 캔들분석
나. 추세분석
다. 패턴 분석
라. 이동평균석 분석 : 이동평균석의 계산방법, 크
마. 지표분석 : 추세지표, 변동성 지표


  • 추세분석 : 일정기간 주가의 방향성을 파악해 추세가 움직이는 현상을 분석하는 기법




캔들보는법

https://www.youtube.com/watch?v=qCT8GbE1-IE
https://www.youtube.com/watch?v=4f2gSpSSYuI&t=40s
https://www.youtube.com/watch?v=9xS1KU6iW28&list=PL-8Vb2IUI2O5lucwYY5sYHmwzgf2sExqY



이동평균선
https://www.youtube.com/watch?v=JOl4rv3_p_A
https://www.youtube.com/watch?v=hLHmpoxRgXk
https://www.youtube.com/watch?v=EKp2E0Qp608

20일선이 중심선
60일선과 120일선이 마지노선
(교차하고 캔들이 위, 아래 있을 때 장기 매수도 시점)



20일선이 깨지면 120일선까지 갈 가능성이 높음
“ 고 120일선까지 깨지면 추세 변화 가능성 높음
20일선과 120일선이 중요








추세보는 법
https://www.youtube.com/watch?v=MEAhTDRe33k
" 지금이 상방이예요? 하방이예요? 헷갈려요..... "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_EJ7mTgKfv8



차트 보는 법










https://www.youtube.com/watch?v=zsZoXlXuD9I&t=241s
https://www.youtube.com/watch?v=syQ0LWIgUT4








주의할 점

  1. 선물, 옵션 만기일 조심

선물만기일 : 분기별 말일
옵션 만기일 :

  • 변동성이 크거나 전일 프리미엄이 빠지면 횡보 가능성

2.
3.



  • 증권사 분석
  1. 증권사 선택기준
  • 안정성 :
  • 수수료 :

` 거래수수료와 기관비용(수수료 할인 안됨)
` 가환전 수수료

  • HTS




추천 거래소(웹사이트)



https://www.gosutop.com/
https://web.utopia-forex.com/web?demo=false&ib=d69db77d-f9c3-4177-a97d-0f73544638ab













용어정리

1.

  1. 보조지표(자주 사용하는 지표) 용어
  • 이동평균(moving average)

통계학에서 이동평균(롤링평균 또는 이동평균)은 전체 데이터 집합의 여러 하위 집합에 대한 일련의 평균을 만들어 데이터 요소를 분석하는 계산이다. 이동산술평균 (Moving Mean)[1] 또는 롤링산술평균(Rolling Mean)이라고도 하며 유한 임펄스 응답 필터 유형이다. 단순, 누적 또는 가중 유형이 있다.
일련의 연속된 숫자와 고정된 부분 집합 크기가 주어지면, 이동 평균의 첫 번째 요소는 연속된 숫자의 첫 고정 부분 집합의 평균을 취하여 구한다. 그런 다음 "앞으로 이동"하여 하위 집합을 변경한다. 즉, 부분 집합의 첫 번째 숫자를 제외하고 연속된 숫자의 다음 값을 포함시킨다











실전

  1. 유토피아를 통한 메타트레이드 가입


로그인
sub_pjh@utopia-forex.com
a1234567

  • 가입권유 링크


리얼



  1. 입출금
  • 이바이접속 - 마일리지입금- 지불대행으로













'주식, 선물, FOREX, 코인 등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거래  (0) 2022.09.05
국내 주식 보다는 해외 선물 등 파생상품 거래  (0) 2022.09.04
트레이딩 요령  (0) 2022.09.03
금일 경제지표  (0) 2022.08.29
금일 경제지표  (0) 2022.08.26

댓글